본문 바로가기

합판의 특성과 종류 인테리어를 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가 바로 합판입니다 밥하는 특성이 의외로 많아서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데요 오시는 분들을 위해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하판의 특성은 신축이나 변형이 적고 방향성이 포함되어 방향에따른 강도 등의 차이가 없습니다 통나무판이라 불리는 원목판에 비해 얇은데도 불구하고 강도가 좋습니다 특히 동그랗게 곡면가공을 해도 균열이 생기지 않아 원목보다 자주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늬가 매우 일정하며 아름다운 무늬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원판이 가지고 있는 목재의 흠을 제거하거나 보완할 수도 있습니다 표면 가공법으로 의장적 효과와 흡음효과도 낼 수 있습니다 흡음 효과는 방음 자재 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노래방 같은 곳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실제로 합판.. 더보기
목재마루판을 알면 인테리어 고수 인테리어에 기본이 되는 목재 마루판은 무늬가 아름다운 미송이나 참나무 나왕 아피톤 등을 사용하여 인공 건조한 판재입니다 감촉성 내수성 내마모성이 있으면서 자연적인 질감을 가져와 우수한 목재마루판 이라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나뭇결이나 색깔이 다양해서 전원주택을 원하는 분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목재마루판은 실제로 주택이나 체육관바닥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목재 마루판 중에는 플로어링보드이라는 것이 있는데 무늬가 아름다운 목재를 활용하여 표면을 곱게 만들고 마감하고 접합에 유리하도록 만든 것을 플로어링이라고 합니다 플로어링 보드는 참나무 미송 나왕 참나무 떡갈나무 밤나무 아피톤을 통해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마루판의 종류로는 강화마루와 온돌마루 원목 마루가 있으며 목재 내부에는 방부 효력이 있는 .. 더보기
목재 건조의 중요성 인테리어를 하려는 사람들은 대부분 가장 먼저 목재를 알아보게 됩니다 그리고 목재를 선택할 때 제대로 건조된 것을 구하려고 하죠 목재의 건조는 정말 중요한 부분입니다 초보자들은 잘 모르지만 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은 목재는 내구성이 약해 나중에 어떤 결과를 불러올지 뻔합니다 강도가 약해지면 당연히 부식이 생기거나 벌레가 생겨서 2차 피해를 주게 됩니다 그래서 목재의 건조는 절대로 피해갈 수 없는 과정 중 하나입니다 목재를 건조시킨 다는것은 내부에 들어있는 수분이 외부로 이동하여 표면에서 증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제재된 목재는 사용 전에 무조건 건조를 해야 합니다 목재는 건조를 통해 함수율이 30% 이하가 되면 수축이 되면서 균열이 생기고 변형이 되지만 부패나 부식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더보기
목재의 내구성에 대해 알아보자 목재의 내구성은 풍화 작용에 의한 마모 균류 박테리아에 의한 부패 곤충에 의한 충해 화재 등의 원인에 따라 감소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원인을 없애고 목재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합니다 목재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대표적인 원인은 부패인데 부패 때문에 목재 성분이 변질되고 비중이 줄어들고 강도가 떨어지면서 내구연한을 단축 시킨다고 합니다 부패와 부패 조건 목재의 부패는 균류 번식 작용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분비되는 효소는 목재 섬유질을 용해 하거나 감소시키기 때문에 목재 강도가 떨어지고 목질은 변질 된다고 합니다 부패 초반에는 단순히 변색되는 정도로 보이지만 점차 시간이 지날수록 재질이 급격히 떨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균류의 번식을 막으면 부패를 늦추어 목재의 내구.. 더보기
페인트와 함께 쓰면 좋은것 셀프 인테리어를 할때 가장 중요한게 바로 페인트 입니다 초보자가 페인트칠을 하려면 여러가지 지식도 갖추어야 하는데요 기본적으로 페인트와 함께 쓰면 좋은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프라이머라고 하는 젯소가 있고 분무기 바니시 스테인 오일 왁스 페인트 단열제가 있습니다 이런 재료들은 페인트와 함께 쓰면 좋은데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젯소 프라이머는 페인트의 흡착력이나 커버력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페인트 전단계에 칠하는 제품이라고 합니다 실크벽지처럼 페인트를 많이 흡수해주는 표면이나 석재 플라스틱 코팅 철제등 페인트의 흡착력이 떨어지는 소재 컬러가 너무 진해서 페인트가 잘 발색되지 않을때 mdf나 시멘트의 유해물질을 차단해야 할때 사용한다고 합니다 젯소를 바르게 되면 가장 좋은게 페인트가 잘 발.. 더보기
집 분위기를 좌우하는 조명의 종류 인테리어를 할 때 집안 분위기를 결정하는 요소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조명이 아닐까 하는데요. 하지만 조명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기 때문에 인테리어 초보의 경우 선뜻 선택하기 망설여지게 됩니다. 그래서 조명의 종류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려 하는데요. 메인 조명과 보조 조명 크게 2가지로 나누었으며 메인 조명에는 다운라이트, 실링라이트, 펜던트, 샹들리에가 있고 보조 조명에는 브래킷, 스포트라이트, 풋라이트, 플로어 램프가 있습니다. 메인 조명 - 다운라이트 다운라이트는 천장에 매립해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인데요. 때문에 심플한 인테리어에 안성맞춤이며 천장이 낮은 방에 가장 적합한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 커다란 한게의 조명보다는 작은 여러개으 조명을 설치하는 것이 .. 더보기
리모델링 준비전 체크리스트 무조건 리모델링이라고 하여 신축보다 돈이 적게드는 것은 아닌데요. 리모데링은 집을 철거하기 전 건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에 변수가 무척이나 많은데요. 이런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내력벽과 기둥, 바닥, 보, 지붕틀, 계단과 같은 주요 구조부를 살펴보고 불법 건축물인지 세금 문제는 없는지를 살펴봐야합니다. 그래서 체크 리스트를 만들어 두는 것이 좋은데요. 이 체크 리스트에는 여러가지가 들어가겠지만 최소한 건축물대장, 증축, 대수선 가능 여부, 건물 구조, 골조 재료, 지붕 상태, 수압과 정화조 6가지가 꼭 들어가야 합니다. 1. 건축물대장 건축물대장을 열람해 등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하는 일인데요. 이는 무단으로 증축한 불법 건축물의 경우 철거 전 강제 이행금이 부과될 수 있기 때문.. 더보기
목재의 건조에 관하여 목재의 건조는 내부에 있는 수분이 바깥으로 이동하면서 표면에서 증발하는 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제제된 목재는 사용하기 전에 무조건 건조를 시켜야만 하는데요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공사를 할 때 매우 위험할 수 있다고 합니다 목재는 건조에 의하여 외부로 수분이 빠짐으로써 함수율이 30% 이하가 되면 수축되어 균열이 생기거나 변형이 되지만 부패나 부식을 예방할 수 있어 목재의 내구성을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목재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빠진다고 했는데요 이때 습도 풍속 온도가 영향을 크게 준다고 합니다 온도가 높고 풍속이 빠르면 건조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으면 건조 속도는 늦어진다고 합니다 물론 기후 조건 외에도 목재의 비중에 따라 건조속도가 늦어지거나 빨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목재의 .. 더보기